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니버시티파크에 위치한 주립대학(Penn State)에 대한 내용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문서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번 문단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콜로니얼 칼리지
미국 건국 전 세워진 9개 대학
[ 펼치기 · 접기 ]

설립교표교명설립 당시 명칭소재지
1636년파일:하버드 대학교 문장.svg하버드 대학교
Harvard University
뉴 칼리지
New College
매사추세츠
1693년파일:College of William and Mary Seal.png윌리엄 & 메리 대학교
College of William and Mary
버지니아
1701년파일:예일 대학교 문장.svg예일 대학교
Yale University
칼리지에잇 스쿨
Collegiate School
코네티컷
1740년파일: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문장.svg펜실베이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Pennsylvania
칼리지 오브 필라델피아
College of Philadelphia
펜실베이니아
1746년파일:프린스턴 대학교 문장.svg프린스턴 대학교
Princeton University
칼리지 오브 뉴저지
College of New Jersey
뉴저지
1754년파일:컬럼비아 대학교 문장.svg컬럼비아 대학교
Columbia University
킹스 칼리지
King's College
뉴욕
1764년파일:브라운 대학교 문장.svg브라운 대학교
Brown University
칼리지 오브 로드아일랜드
College of Rhode Island
로드아일랜드
1766년파일:rutgersShield.png럿거스 대학교
Rutgers University
퀸스 칼리지
Queen's College
뉴저지
1769년파일:다트머스 대학교 문장.svg다트머스 칼리지
Dartmouth College
뉴햄프셔
, 이외 아이비 리그 소속 사립대학
틀 바로가기



파일:미국 대학 협회 로고.svg
[ 북동부 ]
[ 남부 ]
[ 중서부 ]
[ 서부 ]



파일:대학 연구 협회 로고.svg
[ 북동부 ]
[ 남부 ]
[ 중서부 ]
[ 서부 ]


[ 북동부 ]
[ 남부 ]

지역사립대학공립대학
남부 대서양
델라웨어없음파일:University_of_Delaware_Seal.svg.png 델라웨어 대학교
메릴랜드파일:JHU 아이콘.png 존스 홉킨스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메릴랜드 대학교 · 파일: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로고.png 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워싱턴 D.C.파일:조지 워싱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 워싱턴 대학교 · 파일:조지타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타운 대학교없음
버지니아없음파일:버지니아 대학교 문장.svg 버지니아 대학교 · 파일: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휘장.svg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 파일:Virginia_Tech_seal.svg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파일:ODUseal.jpg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 파일:조지 메이슨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 메이슨 대학교
웨스트버지니아없음파일:웨스트 버지니아 대학교 로고.svg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파일:듀크 대학교 아이콘.png 듀크 대학교파일:UNC 채플힐 아이콘.png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NC_State_Seal.svg.png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없음파일: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eal.png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파일:Clemson_University_Seal.svg 클렘슨 대학교
조지아파일:에모리 대학교 아이콘.png 에모리 대학교파일:Georgia_Tech_seal.svg 조지아 공과대학교 · 파일:조지아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아 대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eorgia_State_University_Official_Seal.png 조지아 주립대학교
플로리다파일:University_of_Miami_seal.svg 마이애미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South_Florida_seal.svg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로고.svg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_Internation_University_seal.svg 플로리다 인터내셔널 대학교 · 파일:플로리다 대학교 심볼.svg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 State University Seal.png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동남 중앙
켄터키없음파일:루이빌 대학교 로고.svg 루이빌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Kentucky_seal.svg 켄터키 대학교
테네시파일:밴더빌트 대학교 아이콘.png 밴더빌트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emphis_seal.svg 멤피스 대학교 · 파일:테네시 대학교 로고.png 테네시 대학교
앨라배마없음파일:오번 대학교 아이콘.png 오번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Alabama_seal.svg.png 앨라배마 대학교 · 파일:uab _ university-seal.png 앨라배마 대학교 버밍햄 · 파일:UAH-seal.png 앨라배마 대학교 헌츠빌
미시시피없음파일:University_of_Mississippi_seal.svg.png 미시시피 대학교 · 파일:미시시피 주립대학교 로고.svg 미시시피 주립대학교 · 파일: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문장.png 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서남 중앙
아칸소없음파일:아칸소 대학교 로고.svg 아칸소 대학교
루이지애나파일:툴레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툴레인 대학교파일:루이지애나 휘장.svg 루이지애나 대학교 라파옛 · 파일:Louisiana-State-University-LSU-Seal.png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오클라호마없음파일:오클라호마 대학교 로고.png 오클라호마 대학교 · 파일:Oklahoma_State_University_seal.svg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텍사스파일:라이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라이스 대학교 · 파일:베일러 대학교 로고.svg 베일러 대학교파일:노스 텍사스 대학교 로고.png 노스 텍사스 대학교 · 파일:텍사스 A&M 아이콘.png 텍사스 A&M 대학교 · 파일:Texas_Tech_University_seal.svg 텍사스 공과대학교 · 파일: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아이콘.png 텍사스 대학교 · 파일:UT Dallas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2px-UofTsystem_seal.svg.png 텍사스 대학교 샌안토니오 · 파일: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Seal.png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 파일:텍사스 대학교 엘패소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엘패소 · 파일:University_of_Houston_seal.svg 휴스턴 대학교

[ 중서부 ]
[ 서부 ]

파일:세계경제포럼 로고.svg
Global University Leaders Forum (GULF)
글로벌대학리더포럼 소속 29 대학
||



||
[ 펼치기 · 접기 ]

그 외 다수 (총 986개 대학) #
——————————————————————————
파일:일본 국기.svg
——————————————————————————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 (早稲田)파일:Keio_University_Crest.png 게이오기주쿠대학 (慶應義塾)
소케이 외 4개교 (총 6개 대학)
——————————————————————————
파일:중국 국기.svg
——————————————————————————
그 외 다수 (총 63개 대학)


파일:UPenn white logo.png

파일: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문장.svg

대학 정보
모토라틴어Leges sine moribus vanae
영어Laws without morals are useless
한국어도덕 없는 법률은 공허하다
설립 연도1740년 11월 14일 (283주년)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소재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ted States)
분류사립대학
설립자벤저민 프랭클린
총장
발전기금$20.5 billion (2021년)[1]
합격률5.68% (2021년, Regular Decision)[2]
재학생학부10,106명 (Fall 2021)
대학원12,924명 (Fall 2021)
교직원4,793명 (Fall 2018)
상징마스코트퀘이커 (The Quaker)
색상[3]
{{{#000,#white
[ 펼치기 · 접기 ]
Penn Red (#990000)

Penn Blue (#011F5B)

}}}
링크웹사이트파일: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아이콘.png 공식 홈페이지
대학 언론ta-hash-start=w-0aa519b9fd9be846fcedee48dbdb44fd파일:the daily pennsylvanian logo.png
SNS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위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소개 영상
파일:UPenn campus 1.jpg
캠퍼스 사진

1. 개요
2. 학과
3. 입시
4. 규모
5. 캠퍼스
6. 출신 인물
7. 스포츠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philly-penn-skyline-quad.jpg
파일:UPenn white logo.png

Leges sine moribus vanae

도덕 없는 법률은 공허하다

흔히 펜(Penn), 유펜(UPenn)으로도 불리며 미국 펜실베이니아필라델피아에 있는 연구 중심의 종합 사립대학이다. 1740년 벤저민 프랭클린이 설립한 이 학교는 미국에서 네 번째로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이며 미국 건국 전에 세워진 9개 콜로니얼 칼리지 중 하나이자 아이비 리그에 속하는 명문대학으로 2023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기준 종합랭킹 전미 6위에 올라 있다. [4] 학교의 상징 색은
붉은색
파란색
.[5]

설립자인 벤저민 프랭클린은 현대의 교양 교육 과정과 유사한 상업, 정부, 공공 서비스 분야의 지도자들을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학교를 설립했다고 한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엔 4개의 학부와 12개의 대학원 및 전문 학교가 있다. 대학원 및 전문 학교 중에는 미국 헌법 초안을 작성한 로스쿨, 북미 최초의 의학전문대학원(Perelman School of Medicine, 1765년), 북미 최초의 대학 경영전문대학원(Wharton School, 1881년)이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는 9,600명이 넘는 학부 학생들과 10,100여 명이 되는 대학원 학생들로 총 1만 9,800여 명이 공부하고 있다. 캠퍼스 안에 120여 개가 넘는 빌딩들은 오래된 벽돌 집부터 현대식 건물까지 섞여 있다. 특히 푸른 가로수가 줄지어 있는 거리(Locust Walk)는 인상적이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은 또한 최초의 학생 연합 건물과 단체(휴스턴 홀, 1896년), 북미 최초의 가톨릭 학생 클럽(뉴먼 센터, 1893년), 2층짜리 대학 축구 경기장(프랭클린 필드, 1924년 덱이 건설됨)와 영연방의 공식 수목원인 모리스 수목원이 있다.

최초의 범용 전자 컴퓨터(에니악)이 1946년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개발되었으며 공식적으로 전용되었다. 2019년, 이 대학은 146억 달러(16~17조 원)의 기부금을 받았는데, 이는 미국의 모든 대학에서 6번째로 큰 기부금이며, 연구 예산은 10억 2천만 달러(1.2조 원)에 달했다. 대학의 육상 프로그램인 퀘이커스는 NCAA 디비전 I 아이비 리그 컨퍼런스의 일원으로 33개 종목의 대학 팀을 출전시킨다.

2018년 현재 저명한 동문 및/또는 신탁통치자에는 도널드 트럼프를 포함한 2명의 미국 대통령, 미국 연방대법관 3명, 미국 상원 의원 32명, 미국 주지사 46명, 미국 하원 의원 163명, 미국 독립선언서 서명자 8명, 미국 헌법의 서명자 7명(양쪽 4명)이 있다. 또 대륙 회의의 24개국과 14명의 외국 정상, 36명의 노벨상 수상자, 80명의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64명의 억만장자, 29명의 로즈 스콜라, 15명의 마셜 스콜라, 그리고 16명의 퓰리처상 수상자가 이 대학 출신이다(2019년 10월 기준).

조셉 와튼이 설립한 이 대학의 와튼 스쿨(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상경대학 중 한 곳으로 인정되고 있다. 와튼 스쿨 내 전공 중 재무학, 마케팅,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등이 모두 최고 수준이지만, 그중에서도 금융 분야는 미국, 더 나아가 세계 최고를 다투고 있다.
평균적인 US News 순위는 5위에서 10위 사이를 기록하고 있다. (6위, 2024년) [6][7]


2. 학과[편집]


파일:upennschool2.jpg

펜실베이니아 대학은 4개의 칼리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바로 철학정치학부터 수학물리학까지 다 있는 College of Arts & Sciences(문리과학대학), 다양한 공학 전공이 있는 Schoo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공과대학), 그 유명한 경제 경영의 와튼 스쿨(Wharton School, 경영대학), 그리고 School of Nursing(간호대학). 와튼 스쿨 외에도 일반대학원과 의학, 치의학, 간호학, 법학, 사회복지학, 디자인학, 커뮤니케이션학, 건축학 등의 전문대학원이 있어 훌륭한 종합대학을 이루고 있다. 이들 각각의 (전문)대학원들은 미국 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최상위권에 속하며, 전 세계에서 매우 우수한 인재들이 입학을 하고 있다.

일반 학부 과정 이외에 8가지의 특수 학부 과정(Specialized Degree Program)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지원 과정을 거쳐 선발되며, 일반 과정보다 합격 난이도가 크게 높다. 각 프로그램의 명성은 최상위권에 속하며, 지원자가 수준 미달일 경우 정원이 차지 않더라도 선발하지 않는다. 소속 학부생들은 졸업하면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예: 경영학사+공학사). 이중 전공과는 필요한 공부량이 많이 다르다.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하는 프로그램들은 아래와 같다.
전 세계에서 45명이 매년 선발된다. 미국 상경 계열 학부 프로그램 중 최고로 분류되며, 와튼 스쿨과 문리과학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전 세계에서 10~15명이 매년 선발된다. 미국 이공 계열 학부 프로그램 중 최고로 분류되며, 공과대학과 문리과학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전 세계에서 25명이 매년 선발된다. 경영 계열 최고의 명성을 가진 와튼 스쿨, 그리고 문리과학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전 세계에서 50명이 매년 선발된다. 오랜 명성을 가진 프로그램으로, 경영 계열 최고의 명성을 가진 와튼 스쿨과 공과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전 세계에서 10~20명이 매년 선발된다. 7년제 치의대 프로그램이며, 문리과학대학과 치의대학에서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간호대학과 와튼 스쿨에서 학위를 두 개 수여받는다.

학사 학위를 한 개 수여하지만, 특수 학부 과정인 프로그램들은 아래와 같다.
공과대학에서 학위 한 개를 수여받는다. 네트워크 계열 및 사회 시스템 특수 전공이다.
공과대학에서 학위 한 개를 수여받는다.


3. 입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학입시/미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합격률이 5.68%이다. 몇 년에 걸친 훌륭한 과외 활동이 있는 학생 중에서 매우 뛰어난 고교 내신, 최상위권의 SAT 점수, 다양한 수상 경력이 있어야 약간의 합격을 기대할 수 있다. 지원자의 수에 맞추어 매년 합격률은 낮아지고 있다.

Huntsman, M&T와 같은 특수 학부 과정 합격률은 공식적으로는 공개조차 잘 하지 않는다. 미국 내 여러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3% 대로 짐작 가능하지만 확실한 정보는 없다. 고등학교 때부터 특수한 목표 의식을 가지고 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기에 지원자조차 모두 최상위권이다.

참고로 미국 대학 중에서 졸업생이 가장 높은 연봉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학교로 뽑히기도 했다. #

4. 규모[편집]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는 각각 1만 명 내외의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로 총 2만 명 내외의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캠퍼스 안에 위치한 120여 개의 빌딩들은 오래된 벽돌 집부터 현대식 건축물까지 골고루 섞여져 있다. 특히 푸른 가로수가 줄지어 있는 거리인 Locust Walk는 아름답고 인상적이다.

다만 캠퍼스가 미국에서도 최악의 도시 빈민가인 서부 필라델피아의 동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시카고 대학교와 함께 미국의 명문대 중에서 위치 측면에서는 최악이라고 볼 수 있다. 통계상 미국 전체에서 범죄율이 가장 높은 도시인 뉴저지의 캠든을 델라웨어 강 건너 위성도시로 거느리고 있는 필라델피아 안에서도 최악의 슬럼가인 동시에 노상에서 마약을 버젓하게 판매하는 등 공권력도 손 놓은 곳이 바로 서부 필라델피아다.[8] 카더라 통신에 따르면 일부러 이 점을 노려서 부잣집 출신의 대학생들이 주말에 필라델피아 시내에서 흥건하게 마시고 술에 엉망이 돼서 밤 늦게 학교로 돌아오는 걸 노리는 삥뜯기도 성행한다고 한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학교 '밖' 슬럼가 이야기이며, 학교를 둘러싼 지역은 모두 골목마다 24시간 버티고 서 있는 사설 경찰들에 의해 보호된다. 으슥한 곳을 걸어가야 할 경우 에스코트를 요청할 수도 있고, 무료 셔틀을 제공하는 등 사실 위험한 지역을 사서 가지만 않으면 위험할 일은 거의 없다. 그리고 요즘 들어 학교가 근처 땅을 조금씩 사면서 치안 수준을 상승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캠퍼스가 분포한 서쪽으로는 43번가까지, 북쪽으로는 Market St까지, 그리고 남쪽으로는 Baltimore Ave까지는 비록 한국만큼은 아니지만 미국치고는 안전한 편이다. 따라서 유펜 학생이라면 이 범위 밖으로는 애써 나가지 않는 게 좋으며, 특히 서쪽의 50번가, 북쪽의 Spring Garden St, 그리고 남쪽의 Woodland Ave 바깥쪽부터는 진정한 의미의 무법지대가 펼쳐지니 절대로 가지 말자. 또한 필라델피아 다운타운을 기준으로 북쪽의 North Philadelphia, 남쪽의 South Philadelphia, 그리고 북동쪽의 Kensington 역시 마찬가지로 치안이 매우 불안정하니 접근하지 않는 것이 좋다.


5. 캠퍼스[편집]


파일:upennschool3.jpg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많은 건축물은 Cope and Stewardson 회사에 의해 설계되었다.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고딕 건축과 지역 풍경을 결합하여 대학 고딕 양식을 확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자세한 설명은 옥스브리지#여담 문서 참고. 현재의 핵심 캠퍼스는 웨스트 필라델피아 대학교 도시 구역의 인접 지역에 36만 6천 평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오래된 캠퍼스의 중심부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캠퍼스 구역으로 분류된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모든 학교와 연구소는 이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주변에는 여러 식당, 술집, 대규모 고급 식료품점, 캠퍼스 서쪽 끝에 있는 영화관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암 연구 센터 위스타 연구소도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6. 출신 인물[편집]


파일:elon-muskupenn.jpg
일론 머스크(Wharton 학부, 물리학과)
경영인, 산업 디자이너, 그리고 엔지니어다. 스페이스 X의 설립자, CEO, CTO 및 수석 디자이너, 초기 투자자이며 테슬라의 CEO, 제품 설계자, 뉴럴링크의 공동 설립자, OpenAI의 공동 설립자인 머스크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한 명이다. 캐나다의 퀸스 대학교에서 2년간 공부한 뒤 편입하였다.

파일:donaldtrumpupenn.jpg
도널드 트럼프(Wharton 학부)
미국의 경영인이자 정치인이다. 미국의 45대 대통령이었다(2017~2021). 그의 자녀인 이방카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도 모두 와튼 학부를 다녔다.

파일:warrenbufettupenn.jpg
워런 버핏(Wharton 학부)
미국의 투자자, 자선가, 그리고 버크셔 해서웨이의 회장 겸 CEO이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투자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2020년 12월 기준으로 856억 달러 이상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파일:johnlegendupenn2.jpg
존 레전드(College)
미국의 가수이다. 데뷔 앨범 Get Lellid(2004)를 발매하기 전에도 이미 유명한 아티스트들과 협업하여, 카녜 웨스트GOOD Music과 계약했다. 제이 지의 "Encore", 앨리샤 키스의 "You Don't Know My Name", 포트 마이너의 "High Road" 그리고 로린 힐의 "Everything"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네 번째 음반 《Love in the Future》(2013)의 레전드 싱글 〈All of Me〉는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에 올랐다.


7. 스포츠[편집]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스포츠 팀들은 퀘이커, 또는 레드&블루라고도 불린다.
파일:upennsports.jpg


7.1. 크리켓[편집]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필라델피아는 미국의 크리켓의 중심지였다고 볼 수 있다. 크리켓은 상류층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고 동부 해안(아이비리그 쪽) 전역에 크리켓 클럽이 생겨났다. 크리켓은 펜실베이니아에서 처음으로 조직된 스포츠였다. 펜 크리켓 팀은 캐나다와 영국 섬을 자주 순회하며 1895년에 옥스퍼드-케임브리지 팀을 물리치기도 했다.


7.2. 조정[편집]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조정 팀은 1854년에 설립되었다. 현재 헤비급과 라이트급 남자 팀과 오픈급 여자 팀을 모두 운영 중이며, 모두 동부권 최고로 분류된다. 또한 1955년 남자 헤비급 조정팀은 헨리 로열 레가타에서 열린 그랜드 챌린지 컵에서 우승한 유일한 4개의 미국 대학 중 하나이다.


7.3. 미식축구[편집]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풋볼(미식축구) 팀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미식축구 팀 중 하나이다.

파일:footballupenn.jpg
클리블랜드 브라운스의 감독인 케빈 스테판스키가 펜실베이니아 퀘이커스 출신이다. 대학 시절 포지션은 디펜시브 백.


7.4. 농구[편집]


파일:external/cityportals-statecollegecom-assets.s3.amazonaws.com/1024614_8200.jpg
11대 감독 딕 하터(1966~1971 재임, 2012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1971)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NONXHVUUXRHHRQM.20090509161028.jpg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감독으로 잘 알려진 척 데일리(1971~1977 재임, 2009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1972)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FRSADSVYWVCJRNU.20120501185641.jpg
13대 감독 밥 웨인하워(1977~1982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4강 진출(1979)

파일:external/www.markets.businessclubsamerica.com/fran_dunphy.jpg
16대 감독 프랜 던피(1989~2006 재임) - NCAA 토너먼트 32강 진출(1994)

농구에서는 프린스턴 대학교와 라이벌리를 형성 중이며, NBA 선수 맷 말로니가 이 대학 동문이다.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3:29:13에 나무위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